무역거래 프로세스(수입편)
수입거래의 전체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수입자는 수입할 아이템을 선정합니다.
2. 선정이 되면 관련 수출자를 여러가지 루트를 통해 물색하고 연락합니다.
3. 수입할 물건에 대해서 수입 계약을 합니다.
4. 계약서의 인보이스를 토대로 신용장을 개설하고, 계약금이 있다면 지불합니다.
5. 수출자가 물품을 선적 및 배송하고 선적통지를 합니다.
6. 수입자는 거래은행으로부터 선적서류 도착 통지를 받습니다.
7. 대금을 지급하고 선적서류를 수령합니다.
8. 수입자는 관세사에게 수입통관을 의뢰합니다.
9. 관세사는 수입통관을 하고
10. 관세사로부터 수입통관 완료 통보를 받으면 포워더에게 국내 운송을 요청합니다.
여기까지 수입의 전체 프로세스를 확인해보았습니다.
그럼 각 프로세스 별로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관해서 궁금하실텐데요
수입 프로세스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아이템을 어떻게 선정을 할지에 관해서 먼저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수입상품 개발
무역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우선 어떤 상품을 수입하고 판매할지 아이템을 선정하여야 합니다. 아이템을 개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 방법 중 자신한테 가장 잘 맞는 방법 혹은 여러 가지 방법을 병행해서 아이템을 소싱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 해외에 거주하는 지인을 통한 아이템 찾기
아이템 개발하는 방법 중 가장 안전한 방법은
해외에 거주하는 지인을 통해서 아이템을 개발하는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요즘은 많은 분들이 어학연수, 교환학생 혹은 여행을 하면서
지구촌 여러나라 사람들과 친구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혹시 이런 경험이 없는 분들이라도 해외에 거주하는 비슷한 취향을 갖고 있는 사람과
SNS를 통하여 교류를 하다가 친구가 되는 경우도 상당합니다.
만약 이런 인맥을 갖고 있는 경우
한국에서 현지에 수출하기에 유망한 아이템 혹은 현지에서 인기있는 아이템을
한국에 수입할 수 있습니다.
제일 먼저 이 방법을 언급 드리는 이유는
무역거래에서는 거래자간 신뢰가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미 사적으로 알고 있는 채널을 이용할 경우
신뢰성 부분에서 일반 중개사이트에서 만난 아무개씨 보다는
훨씬 안전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위에 친구중에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괜찮은 아이템을 함께 찾아보는 것도 좋을거 같습니다.
2. 중개사이트를 사용하여 아이템 발굴
해외에 지인이 없는 경우에도 실망하기에는 이르다.
요즘에는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으면 해외소싱을 할 수 있는 사이트들이 많이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B2B 소싱 사이트로는
- 알리바바 : www.alibaba.com
- 이씨21 : www.ec21.com
- 이씨플라자 : www.ecplaza.net
- 글로벌소시스 : www.globalsources.com
- 인디아마트 : www.indiamart.com
- 콤파스 : www.kompass.com
등이 있다.
위 사이트들은 여러 나라의 아이템들이 산재해 있으니,
어떤 아이템이 자기한테 맞는 아이템일지 파악을 하고
수익을 남길 수 있을 만한 아이템을 신중히 고려해야한다.
아무래도 인터넷에만 의존하여 덜컥 계약을 하기 보다는
괜찮은 아이템이 있다면 해당 수출자에게 연락을 해보고
공장도 직접 가서 확인해 보는 것을 추천드린다.
3. 각종 전시회 참가
해외에서 개최하는 전시회에 참가하여 해외소싱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전시회에 가면 여러 기업들이 많이 나와서 각 회사의 제품을 홍보합니다.
어떤 상품을 정하고 가는 것도 방법이지만,
전시회에 참여해서 아이템을 보고 괜찮은 물건이 있으면
수입을 고려해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전시회 정보를 어떻게 얻는지 궁금하실텐데
아래와 같은 플랫폼에서 다양한 전시회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글로벌 전시 플랫폼 : GEP.or.kr
- EC21 : kkr.ec21.com
- TradeNavi : tradenavi.com
전시회에 참여를 하기 전 괜찮은 기업들을 미리 소싱사이트에서 몇군데 찍어놓고
전시장 가까이에 해당 기업이 있는 경우 공장 방문 등을 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4. 디렉토리를 활용한 해외 소싱처 찾기
업종별로 디렉토리를 이용하면 해외 소싱처를 찾을 수 있습니다.(협회나 조합 또는 언론에서 발간하는 디렉토리를 참고하면 좋습니다.) 대표적인 디렉토리를 몇가지 소개하면
- Kompass
- Thomas Register 등이 있습니다.
이렇게 어디에서 어떻게 아이템을 정하면 좋을지에 관해서 살펴 보았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방법들이 많이 있으니, 꼭 한가지 방법을 고수할 필요없이
현재 자기의 상황에 맞는 방법들을 선택하셔서 수입 대박 나셨으면 좋겠습니다.
'무역 Know-Ho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마존 제품 소싱 방법(2) (0) | 2022.05.11 |
---|---|
아마존 제품 소싱 방법(1) (0) | 2022.05.09 |
아마존 판매의 장점 (0) | 2022.05.08 |
수출 프로세스 (0) | 2021.11.18 |
무역이란? 무역업을 시작할때 필요한 것들, 무역회사 차리기 (0) | 2021.02.24 |